"2% 물가 방어선 또 뚫렸다"...7월 2.1% 상승에 가계 한숨만 깊어져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률을 기록하며 2%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물가 상승률 추이를 살펴보면, 1~4월 2%대를 유지하다가 5월 1.9%로 잠시 하락했으나, 6월 2.2%에 이어 7월에도 2.1%를 기록하며 다시 2% 선을 넘어섰다. 이는 가공식품 상승폭 둔화와 석유류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함을 보여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축수산물은 2.1% 상승했다. 농산물의 경우 채소류 1.5%, 과일 3.8% 하락으로 전체적으로는 0.1% 하락했지만, 축산물과 수산물이 각각 3.5%, 7.3% 급등하며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0.1% 내렸으나, 가공식품은 4.1% 오르며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서비스 물가는 2.3% 상승했으며, 특히 개인서비스가 3.1% 올라 전체 물가를 0.61%포인트 끌어올렸다. 외식비는 3.2% 상승하며 0.45%포인트 기여했다. 공업제품(1.6%)과 전기·가스·수도(2.7%)도 상승세를 보였다.
물가 안정성을 측정하는 각종 지표들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2.0%, 농산물과 석유류를 뺀 지수는 2.3%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으나, 신선식품지수는 0.5%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기상 여건과 국제유가 변동성 등 불확실 요인에 대비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민생 밀접 품목의 수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변동 요인에 신속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