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휩쓸고 폭염 덮치자...쌀값까지 치솟는 '물가 대란' 현실화
연이은 폭우와 폭염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긴급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5일 이형일 제1차관 주재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하고 7월 소비자물가 동향과 기상악화에 따른 농축수산물 피해 대응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발표했다. 이 차관은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유류 가격 하락 등으로 2.1%를 기록했으나, 기상 영향으로 일부 품목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서민 부담 가중을 우려했다. 특히 "연이은 집중호우와 폭염으로 농어민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어 신속한 피해복구와 함께 농축수산물 가격·수급 변동성 최소화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관계부처에 당부했다.
정부는 여름철 먹거리 가격 부담 완화를 위해 품목별 맞춤형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배추의 경우 정부 보유물량 방출 규모를 전월 대비 2배 확대해 일평균 200~300톤을 공급하고, 예비묘 공급도 50만주 늘려 300만주로 확대한다.
폭염·폭우 피해가 심각한 수박 등에 대해서는 정부 할인지원을 지속 추진하며, 최근 가격이 오른 쌀은 유통업체와 협력해 20kg당 3000원 할인행사를 별도로 진행한다. 축산물 분야에서는 한우 출하 인센티브 제공으로 평시 대비 30% 이상 공급을 늘리고, 닭고기는 국내 입식물량을 확대하는 동시에 태국산 4000톤 수입을 완료하고 브라질산도 이달 중순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휴가철 바가지요금 근절을 위해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 1일부터 피서지 외식·숙박요금과 해수욕장 피서용품 이용요금 등을 집중 단속하고 있으며, 요금 과다 인상이나 가격 미게시, 담합에 의한 가격 책정 등 위반 시 관련 법에 따라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수산물의 경우 44개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와 함께 최대 50% 할인행사를 이달 21일까지 진행하고 있으며, 가공식품도 라면과 과자 등 수요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할인행사를 이어가고 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