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갈증’을 팔지 않고 ‘과정’을 팔았다

그들은 ‘갈증’을 팔지 않고 ‘과정’을 팔았다

FBK 편집부
작성일: 2025년 8월 13일
수정일: 2025년 8월 13일

음료수가 보이지 않는 음료수 광고. 화면에는 땀과 흙먼지에 절어 낡아버린 야구모자 하나가 전부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어떤 광고보다 선명하게, 갈증의 진짜 의미를 마주하게 됩니다.

모자 안쪽에 새겨진, 선수들의 진짜 이름

출처 : 오츠카제약

야구 선수들에게는 챙이 닳도록 눌러쓴 모자 안쪽에 자신만의 다짐을 새기는 오랜 문화가 있습니다. 승리를 향한 투지, 동료를 향한 믿음, 혹은 그저 ‘웃자’는 소박한 약속. 남에게 보여주기 위함이 아닌, 오직 땀 흘리는 자신만이 들여다보는 이 은밀한 문장들은 어쩌면 선수의 등번호보다 더 선명한 그들의 진짜 이름일지 모릅니다.

포카리스웨트는 바로 이 가장 내밀하고 사적인 공간을 파고들었습니다. 그들은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대신, 이미 그 안에 존재하던 수많은 이야기들에 조용히 빛을 비춥니다.

포카리스웨트는 그저, 그 곁에 있었을 뿐이다

출처 : 오츠카제약

왜 그들은 이 광고를 만들었을까요? 포카리스웨트의 페르소나는 명확합니다. 격렬한 운동 후, 땀으로 모든 것을 쏟아낸 순간에 가장 먼저 찾게 되는 동반자. 브랜드는 제품의 구매가 일어나는 바로 그 ‘순간’의 의미를 재정의하기로 합니다.

이 캠페인은 땀으로 인한 ‘수분 손실’이라는 결핍의 상황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땀이 증명하는 ‘노력의 과정과 가치’ 그 자체를 주인공으로 내세웁니다.

포카리스웨트를 마시는 행위는 더 이상 생리적 갈증을 해소하는 기능적 소비가 아닙니다. 스스로의 노력을 인정하고, 그 뜨거운 과정을 존중하며 마무리하는 하나의 상징적 의식(Ritual)으로 거듭납니다. 브랜드는 제품을 파는 대신, 당신의 모든 순간을 지켜봤다는 묵묵한 응원의 메시지를 건네는 것입니다.

음료는 ‘결핍’을 채우지만, 응원은 ‘존재’를 채운다

출처 : 오츠카제약

이 영리한 관점의 전환은 ‘땀’이라는 단어의 프레임을 바꿉니다. 이전까지 땀이 단순히 보충해야 할 ‘마이너스’ 상태의 증거였다면, 캠페인 속 땀은 한 사람의 이야기가 응축된 ‘플러스’ 가치의 결정체입니다.

“그 땀은,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강하다.”

출처 : 오츠카제약

이 한마디는 그래서 강력합니다.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거나 해결해주려 하지 않습니다. 대신, 당신이 흘린 땀의 가치를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다고, 그러니 당신은 이미 충분히 강하고 위대하다고 말해줍니다. 이는 소비자를 수동적인 구매자에서, 자신의 노력을 존중받는 주인공으로 위상을 바꾸어 놓습니다. 포카리스웨트는 이 과정을 통해 단순한 이온음료를 넘어, 나의 노력을 가장 깊이 이해해주는 심리적 파트너라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게 됩니다.

그래서, 당신의 땀은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는가

출처 : 오츠카제약

야구모자 속 다짐은 비단 선수들만의 이야기가 아닐 겁니다. 모니터 한구석에 붙여놓은 작은 메모, 매일 들여다보는 휴대폰 배경화면 속 한 문장, 아무도 보지 않는 작업실에서 혼자 되뇌는 약속. 우리 모두는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만의 ‘모자 속 다짐’을 품고 살아갑니다.

포카리스웨트의 캠페인은 그 보이지 않는 땀의 순간들을 호명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조용히 묻습니다. 당신의 노력을, 당신의 존재를 진심으로 응원하고 있느냐고.

우리는 어쩌면 매일, 누군가의 보이지 않는 다짐 곁을 스쳐 지나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 땀의 온도를, 우리는 과연 몇 번이나 제대로 마주한 적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