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금 급한 자영업자들, 스팸 사기꾼들의 표적이 됐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불법스팸을 통한 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에게 긴급 주의보를 발령했다. 특히 불특정 다수를 노리는 다중피해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개인사업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방통위는 28일 최근 불법스팸을 이용해 공공기관이나 온라인 대출업체를 사칭하는 수법으로 고액 피해를 입히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다중피해사기는 보이스피싱부터 투자리딩방, 로맨스스캠, 노쇼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며 피해 규모를 키우고 있다. 투자리딩방의 경우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며 과장·허위 광고로 투자자들을 유인하고, 로맨스스캠은 이성적 호감을 가장해 접근한 후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자영업자들은 특히 온라인 대출 사칭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사업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쉬운 대출을 미끼로 한 사기에 현혹되기 쉽기 때문이다. 실제로 급전이 필요한 소상공인들을 노린 가짜 대출업체 사칭 문자가 급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방통위는 피해 예방을 위한 '3가지 금지사항'과 '3가지 필수사항'을 제시했다. 문자 속 URL 클릭 금지, 모르는 발신자와의 통화 금지, 유선상 개인정보 제공 금지가 핵심이다. 반면 불법스팸 신고, 번호 차단, 번호 삭제는 반드시 실행해야 할 사항이다. 의심스러운 문자를 받았을 때는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을 통해 정상 문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불법스팸 간편신고 앱도 대폭 개선됐다. 기존 음성·문자 스팸 신고에서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등 SNS 스팸까지 신고 범위가 확대됐다. 삼성전자나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사 구분 없이 앱을 통한 간편신고가 가능해진 것이다. 신고 방법도 앱 외에 휴대전화 간편신고, 불법스팸대응센터 누리집, 118 상담센터 등 다양한 경로가 마련돼 있다.
신고된 스팸 정보는 분석을 거쳐 불법스팸 차단시스템과 이동통신사, 휴대전화 제조사의 AI 스팸 차단시스템에 활용된다. 신고 건수가 많을수록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차단이 가능해져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방통위는 고령자 등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직접 방문 및 온라인 교육도 병행하며 다각적인 피해 방지 노력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