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외식업 핵심 이슈 : 케데헌 효과, 푸드테크, 설탕세

한눈에 보는 외식업 핵심 이슈 : 케데헌 효과, 푸드테크, 설탕세

FBK 편집부
작성일: 2025년 9월 9일
수정일: 2025년 9월 10일

2025년 9월, 외식업계는 글로벌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과 국내 소비 트렌드의 미묘한 변화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번 주 사장님들이 주목해야 할 세 가지 신호는 미국 냉동김밥 시장의 폭발적 성장, 세포 배양 식재료 푸드테크의 상업화 가속, 그리고 대만 세금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미묘한 영향입니다. 이러한 흐름은 메뉴 개발부터 공급망 관리, 그리고 가격 전략에 이르기까지 깊이 있는 대응 과제를 제시합니다.

F&B 시장을 선도하는 사장님들께 드리는 외식업 핵심 이슈 브리핑입니다.

급변하는 외식업 환경 속에서 흐름을 읽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마인드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달에는 특히 글로벌 시장의 새로운 동력, 미래 식재료 기술의 발전, 그리고 미묘한 정책 변화가 외식업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해야 할 신호들이 포착되었습니다.


미국 냉동김밥 시장

출처 : 넷플릭스(Netflix)

'케데헌 효과'로 폭발적 성장

핵심 상황과 배경

최근 미국에서는 '케데헌' 인기에 힘입어 냉동김밥 시장이 예상치 못한 속도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밥 한입 먹기 챌린지'와 같은 소셜 미디어 트렌드가 소비를 크게 견인하며, 미국 내에서 냉동김밥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에서는 과열 경쟁에 대한 우려마저 제기될 정도입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

이는 K-푸드의 글로벌 잠재력과 소셜 미디어 바이럴 마케팅의 위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사례입니다. 국내 외식 브랜드는 단순한 '맛'을 넘어 '문화적 스토리텔링'과 '참여형 콘텐츠'가 결합된 메뉴로 해외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하거나 국내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전략적 대응 방안

우리 가게의 시그니처 메뉴 중 간편식 또는 냉동식품 형태로 개발 가능한 아이템을 발굴하고, 숏폼 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챌린지' 마케팅을 기획해 보세요. 예를 들어, '○○동 맛집 김밥 챌린지'처럼 고객 참여를 유도하여 브랜드를 바이럴화하는 것이죠.


세포 배양 푸드테크

출처 : Freepik의 kuprevich작가

'우유'부터 '코코아'까지 상업화 속도 붙는다

핵심 상황과 배경

스위스의 초콜릿 대기업 배리 칼레보(Barry Callebaut)는 기후 변화와 공급망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 세포 배양 코코아 연구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동시에 캐나다 스타트업 오팔리아는 네덜란드 유제품 대기업과 협력하여 세포 배양 우유, 크림, 치즈, 요거트 등의 상업화 계약을 세계 최초로 체결했습니다. 오팔리아는 젖소 없이 유선 세포 배양을 통해 카제인, 유청 단백질, 유지방, 유당을 포함한 우유를 생산하며, 특히 태아 송아지 혈청(FBS)을 제거하여 윤리적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상업적 실행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

이러한 움직임은 미래 식재료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글로벌 기업들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국내 외식업계도 대체 식재료에 대한 적극적인 탐색과 푸드테크 기술 도입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략적 대응 방안

메뉴 개발 시 식물성 대체육, 식물성 우유 등 대체 식재료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푸드 테크 스타트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해 보세요. 예를 들어, '미래 식탁'을 테마로 한 특별 메뉴를 선보이거나, 새로운 기능성 재료를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여 차별점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대만 세금 정책

출처: Freepik

'무가당 음료' 면세가 외식업에 던지는 시사점

핵심 상황과 배경

대만 입법원은 최근 무가당 음료에 대한 화물세 면제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는 건강한 식습관을 장려하고 당 함유 음료 소비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지만, 과거 수입차 고관세가 외식업 등 생활 산업의 가격과 임금을 구조적으로 억제했던 사례처럼 세금 정책이 시장에 미묘한 영향을 미쳐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

세금 정책은 단순한 규제를 넘어 소비자의 구매 행동과 산업 전반의 가격 구조를 형성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국내 외식 브랜드도 정부의 건강 증진 정책이나 환경 규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메뉴 구성 및 가격 전략에 반영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전략적 대응 방안

현재 또는 미래에 예상되는 정부의 건강 정책(저당, 저염 등)을 면밀히 주시하고, 관련 메뉴를 선제적으로 개발하거나 프로모션을 기획하세요. 예를 들어, '제로 슈거' 음료나 '저염식' 옵션을 강화하고 이를 명확하게 홍보하여 건강에 관심 있는 고객층을 사로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2025년 8월, 외식업계는 미국 냉동김밥 시장의 K-푸드 돌풍, 세포 배양 푸드테크의 상업화, 그리고 세금 정책의 시장 구조 변화 영향이라는 세 가지 핵심 신호를 마주했습니다. 사장님들은 이러한 흐름을 기회로 삼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