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외식업 핵심 이슈 : MZ세대, 세대 융합, 투트랙 전략

한눈에 보는 외식업 핵심 이슈 : MZ세대, 세대 융합, 투트랙 전략

FBK 편집부
작성일: 2025년 9월 15일
수정일: 2025년 9월 15일

이번 주 외식업계는 MZ세대의 변화무쌍한 음료 소비 트렌드, 전통 브랜드를 젊은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시도, 그리고 소비 양극화에 대응하는 가성비와 가심비 투트랙 전략이라는 세 가지 핵심 신호를 포착했습니다. 이는 사장님 가게의 메뉴 개발, 브랜딩, 그리고 가격 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제로 연결됩니다.

이번 주 외식업계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전략적 접근이 돋보였습니다. MZ세대의 음료 소비 트렌드 변화, 전통 브랜드의 현대적 재정의, 그리고 가성비와 가심비를 모두 아우르는 투트랙 전략은 지금 우리 사장님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동향입니다.

MZ세대의 음료 선택

출처 : Freepik의 jcomp작가

효능, 경험을 동시에 잡다

핵심 상황과 배경

최근 미국 시장에서는 멜라토닌, 면역 강화, 집중력 향상 성분 등 다중 효능을 강조한 간식 및 음료가 급부상하며 3조 8,700억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했습니다. 특히 미국 Z세대의 82%는 음료가 감정 회복에, 66%는 건강 유지에 도움된다고 응답했으며, 75%는 직접 시럽 등을 조절하여 개인화된 경험을 추구합니다. 또한, 태국 무알코올 음료 시장은 2025년 약 9조 6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국내에서도 '취하지 않는 술' 트렌드에 힘입어 논알코올 음료 시장이 1천억 원대 규모로 커지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

MZ세대는 단순한 갈증 해소를 넘어 기능성, 맞춤형 경험, 건강한 선택지를 음료에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음료 메뉴를 수익 창출의 핵심 동력이자 브랜드 철학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활용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전략적 대응 방안

메뉴에 저당/제로슈거 옵션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직접 재료를 선택하거나 토핑을 추가하는 '나만의 음료 만들기' 요소를 도입해 보세요. 예를 들어, 던킨의 '밀키스 쿨라타 로우슈거'처럼 인기 음료를 저당 버전으로 재해석하거나, 세븐일레븐 스무디처럼 고객이 직접 블렌딩하여 즐기는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전통과 현대의 조화

출처: 페이스북(@Taiei Zoo)

젊은 세대를 사로잡는 브랜드 재정의

핵심 상황과 배경

대만의 '지단가오(계란빵)'와 '처룬빙(풀빵)' 같은 전통 간식들이 타이베이 시립 동물원, 비비안 웨스트우드 등과의 이색 콜라보를 통해 MZ세대의 SNS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확산을 유도하며 인지도를 높였습니다.

국내 던킨은 신규 콘셉트 '원더스'와 윈터 캠페인으로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5'를 수상하며 오감 체험과 감각적인 디자인을 통해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했으며, SPC 잠바도 '캘리포니아 선샤인' 리브랜딩으로 스무디 외 주스, 커피, 에너지볼, 샌드위치 등 카테고리를 확장하며 카페 콘셉트를 강화했습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

젊은 세대는 익숙한 것에 신선함을 더한 경험에 열광하며, 이는 SNS를 통해 자발적인 홍보 효과로 이어져 브랜드 인지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메뉴나 브랜드도 현대적 디자인, 이색적인 콜라보, 문화적 스토리텔링을 통해 새로운 팬덤을 형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줍니다.

전략적 대응 방안

노포 음식점이라면 시그니처 메뉴에 현대적 디자인이나 이색적인 토핑을 시도하고, 지역 예술가와 협업하여 한정판 굿즈를 제작하거나, 가게의 오래된 이야기를 젊은 감각으로 스토리텔링하여 SNS 바이럴 마케팅을 시도해 보세요. 대만의 전통 간식 콜라보 사례나 플로리다 베이커리(福利麵包) 전통 타오수(桃酥) 현대화 사례처럼, 본질은 지키면서도 시각적, 문화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비 양극화 시대

가성비가심비를 동시에 잡는 투트랙 전략

핵심 상황과 배경

국내 외식 시장은 2년 연속 90만 명 이상의 자영업자 폐업과 소비 위축으로 술집 매출 9.2%, 분식집 3.7% 하락을 겪는 등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에서 한촌설렁탕은 추석 선물세트에서 프리미엄 한우 세트 판매율이 67% 증가하는 동시에 1인 가구 실속 탕류 세트 판매가 6배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패밀리마트는 편의점에서 '동전 가격'으로 '호주 M8-M9 등급' 와규 등 고급 소고기를 선보이며 접근성을 높인 가심비를 제공하고, 수기야는 규동 가격을 인하하는 등 직접적인 가성비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

경기 침체와 고물가 속 소비 양극화는 사장님들에게 명확한 타겟 고객층 설정차별화된 가치 제안이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프리미엄과 가성비, 두 가지 수요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투트랙 전략'이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전략적 대응 방안

기존 주력 메뉴는 합리적인 가격을 유지하되, 고급 식재료나 특별한 조리법을 활용한 '작은 사치' 프리미엄 메뉴를 추가하여 가심비 고객을 유인하십시오. 또는 한정 기간 '1+1'이나 '증량' 프로모션으로 가성비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며 구매를 유도해 보세요. 패밀리마트의 '동전 가격' 와규처럼 접근성 높은 채널에서 고품질 경험을 제공하거나, 스키야의 가격 인하 전략처럼 가격 민감도가 높은 고객층을 직접 공략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주 외식업계는 건강과 경험을 중시하는 음료 트렌드, 전통과 젊은 감각의 성공적인 융합, 그리고 소비 양극화에 대응하는 정교한 투트랙 전략이 핵심이었습니다.

사장님들은 이 동향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우리 가게만의 독보적인 가치를 찾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나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