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 5천만 한류팬 몰려온다는데... 지역 자영업자들 '황금알' 잡을 수 있을까?
문화체육관광부가 급증하는 한류 관광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케이(K)-관광 혁신 전담팀'을 3일 공식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관계 부처와 학계·업계 전문가, 유관기관 인사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담팀은 '케이-컬처'의 글로벌 확산으로 폭증하는 방한 관광객을 수용하고 지역관광 활성화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구성된 관광 혁신 민관 협력체다. 문체부는 이를 통해 관광산업을 대한민국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수도권 집중 현상을 넘어 전국 지역이 세계적 관광 무대로 거듭나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전담팀은 최휘영 문체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여 기획재정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관광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이 참여한다. 민간에서는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한국여행업협회 등 업계 대표 단체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합류했다.
학계에서는 이훈 한양대 교수, 김대관·최규완 경희대 교수 등이 참여해 관광정책과 지역관광, 마케팅 분야의 전문성을 제공한다. 업계에서는 노희영 식음연구소 대표, 임혜민 크리에이트립 대표, 정지하 트립비토즈 대표, 최동천 마스터카드 대표 등이 위원으로 참여해 기업가적 시각과 디지털 혁신 전략을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특히 자영업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부분은 전담팀이 지역관광 활성화와 소상공인이 함께 누리는 관광 생태계 구축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수도권 중심의 관광 패턴을 지역 전반으로 확산시켜 전국 곳곳의 소상공인들이 한류 관광 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여행작가 태원준, 25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우니의 끼니', 심리 전문가 김경일 아주대 교수,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 등이 참여해 현장 경험과 외국인 시각을 반영한 정책 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전담팀은 앞으로 방한시장 확대, 관광수용태세 개선, 지역관광 혁신,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등을 핵심 과제로 집중 논의하며, 분야별 실무분과를 운영해 현장 중심의 해법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역별 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관광산업 전반의 혁신을 뒷받침할 종합정책도 구체화할 예정이다.
최휘영 장관은 "관광은 경제 저성장을 돌파하고 지역소멸을 극복할 대한민국의 핵심 전략산업"이라며 "전 세계 2억 5000만 한류 팬들이 한국을 찾고 있는 만큼, 민관이 함께하는 전담팀을 통해 방한 관광의 질적 성장과 지역 균형 발전, 소상공인과 주민이 함께 누리는 관광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담팀에서 도출된 과제들은 국가관광전략회의 안건에 반영되고, 새 정부 관광정책 비전을 실현할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