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당신의 폐업위기 미리 안다...정부 '조기경보' 시스템 가동
중소벤처기업부가 내년부터 카드사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소상공인 금융지원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고 2일 발표했다.
중기부는 이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전전용교육장에서 열린 여섯 번째 간담회에서 '소상공인 대안평가모형'을 특별경영안정자금에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기존 신용평가 방식의 한계를 보완해 카드사의 실제 매출 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대출 승인까지 소요되는 기간도 기존 28일에서 21일로 일주일 단축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위기 상황에 놓인 소상공인을 사전에 찾아내는 시스템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기존에 분리 운영되던 'AI보이스봇'과 '조기경보제도'를 통합해 단계적으로 운영한다. AI보이스봇은 연체 차주뿐만 아니라 부실 위험이 감지된 소상공인에게도 맞춤형 지원 정책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부실 위험성이 포착된 소상공인과 31일 이상 연체 차주의 대출 이력, 매출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자영업자들에게는 정책 정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매출 자료가 부족해 현장실사를 필수로 받아야 했던 초기 창업자나 매출 미신고 소상공인도 신속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중·저신용 소상공인에게는 사전 경영진단을 의무화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1대1 코칭과 재기지원 사업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지역신용보증재단도 내년부터 신용정보사 데이터를 활용해 위기징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발굴부터 진단, 역량강화, 금융지원까지 단계별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금융위원회가 추진 중인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 모형' 수립과도 연계해 신용·재무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금융 정보까지 반영한 포용적 금융지원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위기징후 소상공인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경영위기 유형에 맞춰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 경영 안정과 재기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에는 민간의 대안평가모형을 소상공인 정책자금 평가에 시범 도입하고, 하반기에는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 모형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강조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