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농산물 거래 50%까지"... 기존 유통업체들 '발등에 불'
정부가 농산물 가격 안정화를 위한 대대적인 유통구조 개편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5일 배추·사과 등 핵심 품목의 가격 변동성을 50% 줄이고 유통비용을 10% 절감하겠다는 목표를 담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확대다. 현재 전체 도매유통의 6%에 불과한 온라인 거래 비중을 2030년까지 50%로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도매시장의 판매자 가입 요건을 완화하고, 물류비와 판촉비용을 지원하는 맞춤형 바우처를 제공한다. 또한 경매와 역경매 등 다양한 거래 방식을 도입해 농업인의 가격 결정 참여도 확대할 예정이다.
산지 유통 시설의 스마트화도 가속화된다. 자동 선별기 등 스마트 장비를 갖춘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지난해 30곳에서 2030년까지 300곳으로 10배 확대 구축한다. 인공지능 기반 정보 분석 시스템도 도입해 운영 효율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도매시장 운영 체계에도 대폭적인 변화가 예고됐다. 성과 부진 도매법인의 지정취소를 의무화하고 신규법인 공모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 그동안 성과 평가 체계가 없었던 중도매인에 대해서도 2027년부터 성과 평가 제도를 신규 도입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도매시장의 기능을 현재 경매 중심에서 물류거점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음식점과 소매업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에게는 특히 반가운 소식이다. 농산물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국민 모바일 앱이 내년 개발·보급된다. 제철 농산물 정보와 판매처별 가격 비교, 알뜰 소비 정보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식자재 구매 시 보다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정부는 또한 이상기후에 대비한 안정적 생산 기반 구축에도 나선다. 2030년까지 과수 100곳과 시설채소 20곳의 스마트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냉해·태풍·폭염 등에 대비한 농가 재해 예방시설을 지속 확충한다. 출하 조절 품목도 기존 사과·배에서 노지채소까지 확대하고, 계약재배를 통한 비축 역량도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현장 이해관계자와 관계 부처 간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세부 추진 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