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79만명 몰렸다...상생페이백 신청 폭주, 과연 누가 혜택 받나?
중소벤처기업부가 16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상생페이백 신청 첫날인 15일 하루 동안 79만1천798명이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예상했던 수준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소비 진작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작년 월평균 카드 소비액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월별 카드 소비액이 증가할 경우, 증가분의 20%를 월 최대 10만원(3개월 총 30만원 한도) 범위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제도다. 환급받은 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 등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취약상권의 소상공인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별 신청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44만명으로 전체의 55.5%를 차지했으며, 비수도권에서는 부산 5만2천명, 경남 4만5천명 순으로 높은 신청률을 보였다. 수도권 내에서는 경기도가 21만4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17만6천명, 인천 5만명이 뒤를 이었다.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상생페이백으로 지급되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대형마트나 온라인쇼핑몰이 아닌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에게는 실질적인 매출 증대 효과를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신청 집중으로 인한 서버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5부제를 운영하고 있다. 15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가 5, 0인 사람들이 신청했으며, 16일부터 19일까지 순차적으로 다른 연도 출생자들의 신청을 받는다. 20일부터는 모든 국민이 신청 가능하다.
중기부는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기존 국민·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에 더해 신한은행 650개 영업점을 추가로 지정해 총 8천100여 곳에서 신청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상생페이백 소비액 인정 사용처도 기존 123곳에서 780곳으로 확대하고, 로컬푸드직매장 251곳도 새롭게 추가했다.
상생페이백 런칭을 기념해 이달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상품권을 누적 5만원 이상 충전하면 추첨을 통해 1만원 상품권을 총 1만명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을 몰라 신청하지 못한 국민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