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부터 터널까지 '전방위 점검령'...올해 추석이 특별한 이유는?
정부가 올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방위적인 안전관리 체계에 돌입한다. 행정안전부는 10월 3일부터 9일까지를 '추석 연휴 안전관리 특별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중앙부처와 17개 시·도가 참여하는 대규모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24시간 상황관리 체계 가동과 함께 산업재해 우려시설 집중관리, 교통·화재·치안 등 맞춤형 안전점검에 집중하는 것이다. 특히 도로 터널 방재시설 일제점검과 20년 이상 노후아파트의 스프링클러 설치 현황 확인, 가정폭력 등 관계성 범죄 예방에도 특별히 주력한다.
교통안전 분야에서는 국토교통부가 10월 2일부터 12일까지를 '특별 교통대책' 기간으로 설정했다. 예년보다 긴 연휴로 인한 교통량 증가에 대비해 고속도로·국도 등 도로시설과 사업용 차량, 철도 선로, 항공기 관제 현장을 연휴 전까지 전면 점검한다. 특히 터널 내 환기·소화·피난 시설은 2차 사고 위험성을 고려해 더욱 철저히 점검할 예정이다.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소방청과 중소벤처기업부, 산림청이 합동으로 나선다. 소방청은 10월 2일부터 10일까지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하고 구급상황 관제 인원을 보강한다. 중기부는 화재에 취약한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집중 안전점검과 화재 감시체계를 유지하며, 이는 많은 자영업자들이 운영하는 전통시장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보장하는 조치다. 명절 기간 고객 증가로 분주해지는 시장 상인들에게는 각별한 화재 안전수칙 준수가 요구된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고용노동부는 연휴 전후 급한 마무리 작업과 설비 재가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한다. 고위험사업장을 대상으로 추락, 끼임, 부딪힘 등 다발 재해와 화재·폭발, 질식 등 대형 사고 우려 요인에 대한 12대 안전수칙 준수 여부를 불시 점검한다.
치안 분야에서는 경찰청이 명절 기간 급증하는 관계성 범죄, 주취 폭력, 강·절도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주요 공항과 KTX역에는 경찰 특공대를 배치하고, 축제·행사장에 대한 특별점검도 실시한다. 이 외에도 질병청의 해외여행객 감염병 관리, 해경청의 해상 안전사고 예방 등 각 기관별 전문 분야 안전관리가 동시에 진행된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정부는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추석 연휴 기간 상황관리 체계를 촘촘하게 유지할 것"이라며 "국민들도 재난·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과 긴급 상황 안전정보를 미리 숙지해 편안한 명절을 보내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