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곁에 김사부] 모나리자에 숨은 고객 데이터](/_next/image?url=https%3A%2F%2Fsaakdezjrdahrmwlzdgk.supabase.co%2Fstorage%2Fv1%2Fobject%2Fpublic%2Farticles%2F1759591995652_Freepik_Halinskyi%2520Maksym.jpg&w=3840&q=75)
[내곁에 김사부] 모나리자에 숨은 고객 데이터
500년 전,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이미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나리자'라는 불멸의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시대를 초월한 그의 천재적인 고객 분석법을 당신의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방법을 공개합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천재성은 타고난 재능이 아닌, 철저한 관찰과 데이터에 기반한 '고객 중심 사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는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 비즈니스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원리와 정확히 일치하며, 모든 비즈니스 리더가 반드시 배워야 할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세기의 미소, 모나리자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우리에게 익숙한 다빈치의 대표작 '모나리자'와 '최후의 만찬'. 이 작품들이 수 세기가 지난 지금까지도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이유는 단순히 미학적 아름다움 때문만이 아닙니다. 그 이면에는 고객, 즉 작품을 감상할 대중의 마음을 꿰뚫어 본 치밀한 데이터 분석 과정이 숨어 있습니다.
최초의 '빅데이터' 분석
다빈치는 작품 의뢰를 받으면 곧장 붓을 들지 않았습니다. 그는 먼저 거리로 나가 사람들을 관찰했습니다. 당시 사람들의 보편적인 헤어스타일, 두상, 눈썹과 눈의 모양, 코의 높이, 얼굴형 등 수많은 시각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했습니다. 그는 특정 계층이나 개인의 취향을 넘어, 가장 많은 사람이 호감을 느끼고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공통분모'를 찾고자 했습니다.

모나리자의 신비로운 미소와 어디선가 본 듯한 친숙함은 바로 이 과정에서 탄생했습니다. 특정인의 얼굴이 아닌, 수많은 사람의 데이터가 조합된 '가장 대중적인 얼굴'을 그려냄으로써, 그림을 보는 모든 이가 "어딘가 나와, 혹은 내 주변 사람과 닮았다"는 무의식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만든 것입니다. 이는 현대 마케팅의 핵심인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제품 개발과 정확히 같은 맥락입니다.
짜장면의 토핑 색깔 하나, 면과 소스를 내는 방식 하나가 고객의 만족도를 좌우하듯, 다빈치는 대중의 잠재된 욕구를 데이터로 읽어내 화폭에 담았습니다.
이는 공급자 중심의 일차원적 사고를 뛰어넘는 위대한 발상의 전환이었습니다.
12명의 제자, 평범함에서 비범함을 찾다
'최후의 만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다빈치 이전에도 이 주제를 다룬 그림은 많았지만, 그의 작품이 유독 생생한 감동을 주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살아있는 '고객 페르소나' 구축
다빈치는 성서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며 예수의 열두 제자 각각의 성격, 배경, 심리 상태를 유추했습니다. 베드로의 다혈질적인 성격, 요한의 섬세함, 유다의 고뇌 등을 머릿속에 그린 후, 다시 거리로 나가 그 가상 인물(페르소나)과 가장 닮은 실제 모델을 찾아 헤맸습니다.

그는 시장의 상인, 길거리의 노인, 젊은 청년들의 얼굴에서 성서 속 인물의 그림자를 발견하고 그들을 스케치했습니다. 이처럼 텍스트와 현실 관찰을 결합하여 각 인물에게 혈액형과 MBTI를 부여하듯 입체적인 생명력을 불어넣었습니다. 그 결과 '최후의 만찬'은 종교화를 넘어, 희로애락을 가진 인간들의 심리 드라마가 되었고, 관객들은 그림 속 인물들에게 깊이 몰입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르네상스 거장의 지혜, 현대 비즈니스를 관통하다
다빈치의 작업 방식은 오늘날 가장 성공한 기업들의 전략과 놀랍도록 닮아있습니다.
Airbnb는 단순히 빈방을 중개하는 플랫폼에서 벗어나, 고객이 '검색' 버튼을 누르는 순간부터 여행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는 순간까지의 전체 여정을 시나리오로 설계했습니다. 고객이 겪을 수 있는 불편함, 느낄 수 있는 감동의 순간을 미리 예측하고, 웰컴 드링크나 현지인 가이드 같은 '예측 불가능한 즐거움'을 곳곳에 심어두었습니다. 이는 고객의 행동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재구성한 결과입니다.

tvN의 인기 예능 '삼시세끼'의 성공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제작진은 주 시청자층의 라이프스타일과 관심사를 분석하여 '자연', '요리', '느림'이라는 키워드를 뽑아냈습니다. 그리고 차승원과 유해진이라는, 각자의 역할과 관계성에서 최고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캐릭터를 조합하여 시청자들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그림을 완성했습니다.
만약 유해진 씨 역할을 정해인 씨가, 차승원 씨 역할을 강동원 씨가 했다면 어땠을까요? 결과는 완전히 달라졌을 겁니다. 성공하는 콘텐츠는 고객이 좋아할 만한 캐릭터, 소재, 배경을 데이터에 기반하여 정교하게 조합할 줄 아는 힘에서 나옵니다.
당신의 브랜드를 '작품'으로 만드는 법
이제 당신의 비즈니스로 시선을 돌려보십시오. 당신은 얼마나 고객을 '관찰'하고 있습니까? "설거지하기 편하니까", "원가가 싸니까"와 같은 공급자의 관점에 갇혀 있지는 않습니까?
고객 프로파일링은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오늘부터 단 일주일만이라도 당신의 매장을 찾는 고객들을 유심히 관찰해보십시오. 어떤 메뉴 앞에서 망설이는지, 어떤 서비스에 미소 짓고 어떤 순간에 불편한 표정을 짓는지, 그들의 사소한 행동 하나하나에 비즈니스를 혁신할 데이터가 숨어있습니다.
다빈치가 집요한 관찰과 데이터 조합을 통해 시대를 초월하는 명작을 탄생시켰듯, 고객을 이해하려는 당신의 집요함이 당신의 브랜드를 고객의 마음속에 영원히 기억될 '작품'으로 만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