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보는 외식업 핵심 이슈 : 디저트 고급화,아시아 시장 확장,PB상품 진화
4주차 외식업계는 가치 소비 트렌드에 맞춘 디저트 고급화, 활발한 아시아 시장 확장, 그리고 유통업계의 PB상품 진화라는 세 가지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장님들에게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넘어, 차별화된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수익 모델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던지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지갑을 여는 '작은 사치' 디저트부터 글로벌로 뻗어 나가는 아시아 브랜드의 약진, 그리고 외식업의 경쟁 상대로 떠오른 PB 상품의 프리미엄화까지, 세 가지 신호가 뚜렷하게 감지됩니다. 이는 매장 고유의 경쟁력을 재점검하고,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할 때임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불황에도 지갑 여는 '작은 사치', 디저트의 변신

2025년 10월 4주차, 글로벌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환경 속에서도 소비자들이 독특한 풍미와 높은 품질을 가진 프리미엄 스낵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는 '가치 중심 소비'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F&B 브랜드들은 영화 IP와 협업한 한정판 상품을 출시하거나, 인기 캐릭터를 활용한 DIY 키트를 통해 스토리와 경험을 판매하며 팬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정 지역에서만 한정 기간 운영하는 팝업 스토어 전략은 희소성을 부여하며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소비자들은 이제 디저트와 스낵을 일상의 작은 보상으로 여기며, 맛을 넘어선 감각적 즐거움과 SNS에 공유할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리 가게의 메뉴가 왜 더 비싼지, 그 가치를 디자인, 스토리, 희소성으로 명확하게 증명하고 객단가 상승의 근거를 제시해야만 합니다.
희소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해 우리 가게만의 시그니처 디저트를 개발하고, 인기 캐릭터나 아티스트와 협업하여 한정판 굿즈가 포함된 세트 메뉴를 기획해 SNS 인증 욕구를 자극해 보십시오.
K-푸드의 새로운 기회, 역동하는 아시아 시장

최근 아시아 F&B 시장은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Cà Phê Bệt'이라는 길거리 커피 문화가 커뮤니티의 중심 역할을 굳건히 하고 있으며, 태국의 대형 커피 체인 'Cafe Amazon'은 검증된 프랜차이즈 모델로 해외 시장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의 'fave COFFEE'는 1L 대용량 음료라는 차별점으로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고, 홍콩의 'Bar Leone'는 세계 최고 바(Bar)로 선정되며 아시아 하이엔드 주류 문화의 위상을 증명했습니다.
아시아 시장은 이제 체계적인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통한 확장과 독창적인 문화 경험 제공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K-문화'라는 강력한 무기를 가진 한국 브랜드들이 대중적 메뉴 또는 하이엔드 메뉴를 현지화하여 해외로 뻗어 나갈 기회가 더욱 커졌음을 의미합니다.
베트남의 길거리 문화에 착안한 'K-스트리트 푸드' 팝업 스토어처럼 현지 문화와 결합된 컨셉을 실험해 보거나, 국내에서 성공한 '대용량/가성비 음료' 모델을 해외 진출의 핵심 전략으로 삼아 빠르게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성비를 넘어 품질로, 편의점 PB의 역습

최근 유통업계의 자체 브랜드(PB) 상품은 '저렴함'을 넘어 '품질'과 '건강'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거대 유통 기업 월마트는 인공 첨가물을 제거하는 '클린 라벨' 전략을 발표했고, 대만 패밀리마트 역시 PB 베이커리에 건강 인증을 도입하며 소비자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이처럼 PB 상품은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제는 고령자 맞춤형 영양식처럼 특정 고객층을 겨냥한 전문 분야로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고품질-저가'를 내세운 PB 상품의 공세는 외식업의 가성비 포지션을 위협하며, 전문점 수준의 품질 경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 식당은 PB가 따라 할 수 없는 '매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신선함', '특별한 경험', '세심한 고객 맞춤 서비스'에 집중하여 차별점을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 가게의 핵심 비법(특제 소스 등)을 활용한 프리미엄 밀키트를 PB 상품으로 개발하여 온라인이나 유통 채널에 입점시키는 역발상으로 수익 구조를 다각화해 보십시오. 또한, 매장에서는 PB 완제품을 활용한 빠른 테이크아웃 전용 메뉴를 개발하여 운영 효율을 높이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마무리
2025년 10월 4주차 외식 시장은 가치 중심의 소비 경험, 글로벌 기회 탐색, 업종 간 경계 없는 경쟁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다음 주에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고객의 발길을 붙잡는 '공간'과 '서비스'의 차별화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